KB통계, 전국 14.97%↑…아파트값 20.18% 올라 작년의 2.1배

서울 양천구 목동 아파트 전경. 사진=시사미디어
서울 양천구 목동 아파트 전경. 사진=시사미디어

올해 집값 상승률이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 부동산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한 시기 이래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KB국민은행이 28일 발표한 월간 주택매매가격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올해 전국 주택(아파트·연립·단독주택 포함) 가격은 2020년 말 대비 14.97% 오르면서 2002년(16.43%) 이후 19년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2001년 우리나라는 IMF 외환위기 체제에서 줄어든 주택 공급과 저금리로 늘어난 유동성, 규제 완화 등의 영향으로 부동산 가격이 전국적으로 폭등했다.

집값은 2001년 9.87% 상승한데 이어 2002년에는 상승 폭(16.43%)이 더욱 확대됐다. 2002년 당시에는 연초에 집값이 월 2%대의 급등세를 보였다.

올해 집값은 5월(0.96%)과 12월(0.50%)을 제외하고 거의 매달 1%대 이상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올해 전국 아파트값은 20.18% 올라 작년 상승률(9.65%)의 2.1배에 달했다. 전국 빌라(다세대·연립) 가격 상승률은 올해 6.99%를 기록해 이 역시 지난해 상승률(6.47%)을 웃돌았다.

수도권의 주택가격은 18.61% 올라 2006년(20.34%) 이후 최고 상승률을 나타냈다. 서울(12.5%)과 경기(22.49%)는 2006년 이후 최고 상승률을 보였고, 인천(23.75%)은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86년 이래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특히 2006년은 판교와 위례 등 2기 신도시 개발 호재 등으로 지역 아파트를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폭등했던 시기다.

올해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는 25.42% 올라 2006년 상승률(24.61%)을 넘어섰다. 이는 지난해(12.51%) 상승률과 비교하면 두 배 넘는 수치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올해는 저금리 기조에 따른 폭발적인 유동성 증가, 작년 새 임대차법 시행 이후 전셋값 급등 지속, 공급 불안이 겹치면서 수도권과 지방 가릴 것 없이 집값이 동반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박 전문위원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등의 교통개발 호재에 대한 기대감과 비교적 집값이 저렴하다는 인식에 따른 풍선효과로 인해 올해 수도권 외곽 지역의 아파트값이 크게 올랐다"며 "집값 급등세가 지속되면서 불안을 느낀 2030 세대들이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에서 '탈서울 내 집 마련' 행렬에 동참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